※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넥스틸은 1990년 설립된 국내 대표 강관 제조기업으로, 석유 및 가스 산업에 사용되는 유정관과 송유관 생산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미국 수출 중심의 사업 모델을 바탕으로 2022년 영업이익률 25%를 달성하며 국내 철강업계 수익성 1위 기업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아시아 최대 외경 26인치 ERW 설비 투자와 글로벌 생산기지 확장을 통해 '글로벌 종합 강관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기업 개요
넥스틸(NEXTEEL Co., Ltd.)은 1990년 1월 경주에서 대원공업으로 설립되어 2001년 3월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강관 제조 전문기업입니다. 본사는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포항과 경주에 국내 생산시설을,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 해외 생산기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주력 제품은 유정 굴착 및 채유에 사용되는 유정관(OCTG), 송유관(Line Pipe), 일반관(Standard Pipe) 등으로, 2023년 기준 매출 비중은 유정관 47.7%, 송유관 20.3%, 일반관 29.0%, 기타 3.0%입니다. 특히 수출 중심의 사업구조를 갖추고 있어, 2023년 기준 전체 매출의 73.7%가 수출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미국이 주요 수출국으로 한국 용접강관 대미 수출 점유율은 2023년 17.4%, 2024년 1분기 16.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혁
- 1990년 1월: 대원공업(현 넥스틸) 설립
- 1994년 1월: 포항1공장 매입
- 1995년 11월: 포항2공장(괴동공장) 설립 및 본사 이전
- 2001년 3월: 넥스틸로 사명 변경
- 2006년 12월: 포항 제4산업단지에 포항3공장 설립
- 2014년: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 판매법인 Nexteel Houston 설립
- 2016년: 미국 내 유정용강관 기업 두 곳의 자산 인수(1억 달러 규모)
- 2019년 3월: 미주법인 NEXTEEL Saha LLC 설립
- 2021년 8월: 본사 2인치, 6인치 조관라인 증설
- 2022년: 미국 NEXTEEL Saha LLC 공장 준공 및 가동
- 2023년 7월: 경주 1공장 26인치 대구경 조관라인 증설
- 2023년 8월: 코스피 시장 상장
CEO 및 주요 임원
- 홍성만 대표이사: 1958년생, 울산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1990년 넥스틸 설립 이래 박효정과 함께 일해왔으며, 2021년 8월 대표이사로 승진. 철강 분야 전문경영인으로 30년 이상의 경력 보유.
- 박효정 회장: 1954년 7월 15일생, 충북 제천고등학교와 서울시립대학교 무역학과 졸업. 1990년 넥스틸을 설립하고 2021년 8월까지 대표이사 역임. 현재 회장으로서 미국 법인 넥스틸 사하의 대표이사, 넥스틸 홀딩스의 단독관리자를 겸임.
- 박영회 전무: 1978년생, 홍익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경영지원담당 전무이사(미등기)로 2022년 넥스틸에 입사. 박효정 회장의 아들로 경영권 승계 예정자.
주주 현황
- 최대주주: 박효정 회장(54.15%, 1,408만 주)
- 특수관계인: 박영회 전무(7.38%) 포함 총 16인이 61.69%의 지분 보유
- 나머지 특수관계인은 주로 회사 임원들로 구성
2024년 9월 말 기준, 넥스틸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총 3개로, 모두 해외법인입니다:
-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 소재 넥스틸 아메리카(NEXTEEL AMERICA LLC.)
- 미국 델라웨어주 소재 넥스틸 홀딩스(NEXTEEL HOLDINGS LLC.)
- 캐나다 밴쿠버 소재 넥스틸 캐나다(NEXTEEL CANADA CO., LTD.)
재무 현황 (단위: 억 원)
- 2022년: 매출액 6,684, 영업이익 1,813, 당기순이익 1,455, 자산총계 5,880
- 2023년: 매출액 6,191, 영업이익 1,573, 당기순이익 1,296, 자산총계 6,424
- 2024년: 매출액 5,523, 영업이익 632, 당기순이익 345, 자산총계 6,917
- 2025년 전망: 홍성만 대표이사는 2025년 신년사에서 "원가절감과 생산성 증대, 품질 경쟁력 강화, 사업 다각화를 통해 더욱 경쟁력 있는 글로벌 종합 강관회사로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으나, 구체적인 재무 예측치는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주식 정보
- 상장 시장: 코스피(KOSPI)
- 종목코드: 092790
- 전일 종가(2025년 3월 5일 기준): 약 15,950원 (최근 정보 기준)
- 시가총액: 약 4,188억 원
- 52주 최고가/최저가: 17,990원/6,760원
- 2023년 배당: 주당 700원
- 2024년 배당: 주당 250원
주가 흐름
넥스틸의 주가는 2023년 8월 코스피 상장 이후 대부분 10,000원 미만에서 움직였으나, 2024년 11월 대왕고래 프로젝트 시추 지점 발표 등 소식에 힘입어 강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한 달 사이 주당 7,990원에서 11,000원으로 31.90% 급상승했습니다. 이후 2025년 2월 25일 기준으로는 10,890원에 거래되었습니다.
투자 포트폴리오
넥스틸은 미국과 캐나다를 중심으로 해외 사업 확장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 미국 NEXTEEL Saha LLC: 미국 내 생산 기지
- 캐나다 NEXTEEL Canada: 대구경 강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거점
- 알제리, 이집트, 베트남, 일본 등 비미주 지역 진출 준비 중
주요 판매 상품
- 유정관(OCTG): 유정 굴착 및 채유에 사용되는 강관, 매출의 47.7% 차지
- 송유관(Line Pipe): 원유, 가스 등 수송에 사용되는 강관, 매출의 20.3% 차지
- 일반관(Standard Pipe): 배관용 및 구조용으로 사용되는 강관, 매출의 29.0% 차지
- 기타 철강재: 매출의 3.0% 차지
주요 경쟁사 분석
- 국내 강관 BIG4 중 하나로, 주요 경쟁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 휴스틸: 강관 제조 전문기업, 국내 경쟁사
- 세아제강: 다양한 강관 제품 생산, 국내 대표 철강기업
- 동양철관: 강관 제조 전문기업
- 해외 경쟁사로는 US Steel 등이 있음
SWOT 분석
강점(Strengths):
- 국내 철강업종 내 최고 수준의 영업이익률(2023년 25.4%, 업종 내 1위)
- 아시아 최대 외경 전기저항용접 강관(ERW) 26인치 설비 보유
- 미국 시장에서의 높은 점유율(한국 용접강관 대미 수출 점유율 16.7%)
- 수출 중심 사업구조로 글로벌 시장 경쟁력 확보
약점(Weaknesses):
- 미국 시장 의존도가 높아 미국 경제 상황에 민감
- 철강 산업 특성상 원자재 가격 변동에 취약
- 경기 사이클에 따른 실적 변동성
기회(Opportunities):
- 트럼프 정부 2기 출범에 따른 에너지 정책 변화 가능성
- 글로벌 에너지 수요 증가에 따른 강관 수요 확대
- 대구경 강관 시장 진출을 통한 신규 사업 기회 확보
- 공급망 다변화 정책에 따른 수혜 가능성
위협(Threats):
- 미-중 무역 갈등 심화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변화
- 환율 변동성에 따른 수출 경쟁력 약화 가능성
- 철강 산업 불황과 경쟁 심화
최근 주요 이슈
호재:
- 2022-2023년: 에너지 수요 증가로 인한 강관 평균 가격 상승 (2020년 대비 2.3배 상승)
- 2023년 7월: 아시아 최대 외경 26인치 대구경 조관라인 증설 완료
- 2024년 10-11월: 한국석유공사의 시추 기자재 사업 입찰 참여 및 대왕고래 프로젝트 참여 소식으로 주가 상승
악재:
- 2023년: IPO 이후 주가 부진
- 2024년: 철강 산업 불황과 물가 상승, 고금리로 인한 사업 환경 악화
최근 3개월 이내 주요 뉴스
- 2025년 3월 6일: 넥스틸, 알래스카 LNG 사업 참여 요청받아 주가급등...퀀텀 점프 기회?
(https://www.e-scienc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2809)
- 2025년 1월 14일: 넥스틸 홍성만 대표, "원가절감과 생산성 증대로 글로벌 종합 강관회사 될 것" (https://v.daum.net/v/7jWyncbYTE?vfrom_area=category_ranking)
- 2025년 1월 3일: (신년사) 넥스틸 홍성만 대표, "원가절감과 생산성 증대로 글로벌 종합 강관회사로 도약" (http://www.sn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546379)
투자 가치 및 주가 분석
넥스틸은 국내 철강업종 내 최고 수준의 수익성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는 기업입니다. 특히 2023년 영업이익률 25.4%, ROE 35.5%는 업종 내 1위로, 우수한 수익 창출 능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6.46%의 높은 배당수익률은 배당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요소입니다.
회사는 아시아 최대 외경 전기저항용접 강관(ERW) 26인치 설비 구축 등 지속적인 설비 투자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미국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도 견고합니다. 최근 대왕고래 프로젝트 참여 소식 등으로 주가도 강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철강 산업의 특성상 경기 사이클과 원자재 가격 변동에 따른 실적 변동성이 있으며, 미국 시장 의존도가 높아 미국의 경제 상황과 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는 점은 리스크 요소입니다. 특히 2025년은 트럼프 정부 2기 출범에 따른 무역 정책 변화와 미-중 갈등 심화가 예상되어, 이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현재 PBR은 0.61배로 철강 업종 평균 대비 저평가된 상태이며, 높은 ROE와 배당수익률을 고려할 때 밸류에이션 매력도는 높은 편입니다. 특히 2025년 홍성만 대표가 강조한 원가절감과 생산성 증대, 품질 경쟁력 강화, 사업 다각화 전략이 성공적으로 실행된다면, 추가적인 성장 가능성이 있습니다.
투자의견: 넥스틸은 안정적인 수익성과 높은 배당수익률,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중장기 투자 매력도가 높은 기업입니다. 현재의 저평가된 밸류에이션을 고려할 때 '매수' 의견을 제시합니다. 단, 미국 정책 변화와 글로벌 경기 변동성에 따른 리스크를 고려하여 단계적 매수 전략을 추천합니다.
※ 본 내용은 Perplexity를 통해 기업에 대한 분석 및 주가에 대한 분석을 프롬포팅하여 나온 내용으로 판단은 스스로 하시기 바랍니다.
※ 블로그 글을 진행하면서 LLM에 대해 학습하고 프롬포팅에 대한 능력을 키워 더 중요하고 좋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